서울시 공무원들이 시 주요 정책 및 인구 관련 행정정보 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AI) 분석과 대화형 데이터 검색, 그리고 가상융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새롭게 오픈된다.
서울시는 지난해 6월 착수한 ‘인공지능 기반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2단계)’ 구축을 마치고, 4. 24.(월)부터 서울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2021년에 데이터 거버넌스 기반의 빅데이터 통합저장소 구축(1단계) 사업을 통해 기관·부서별로 분산돼 처리되고 있는 서울시 정보시스템의 데이터를 통합하는 대규모 인프라를 구축하고 메타데이터 및 행정·도시데이터(IoT)를 1차 수집한 바 있다.
이번에 2단계로 구축한 시스템은 기존의 빅데이터 통합저장소 인프라를 활용하면서, 시가 보유한 행정 데이터와 외부 데이터를 연계 수집하여 데이터셋을 구성하고 쉬운 데이터 검색을 위하여 자연어기반 검색서비스를 도입했다. 또한 인구정책 의사결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시각화에 중점을 둔 ‘서울 인구관’ 서비스로 일반직원들도 쉽고 친근하게 데이터를 접근하여 분석·활용할 수 있도록 시도했다.
업무 수행에 필요한 행정·민간데이터를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여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됨에 따라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행정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가 보유한 데이터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서울시 정책’과 ‘인구’ 관련 데이터를 기획하고 외부데이터를 추가 수집하여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데이터셋 검색, 다운로드 및 활용방안을 개발했다.
서울시 주요 정책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고 관련 데이터를 시 내부와 외부에서 수집·재분류하여 12개 분야(교육, 교통, 도시관리, 문화/관광, 보건, 복지, 산업/경제, 안전, 일반행정, 주택/건설, 환경, 인구/가구)로 구성하여 ‘데이터300’을 개발했다.
이와 함께 가상융합 기반 ‘인구관’에 활용될 생활인구, 생활이동, 주민등록 인구 등의 통계청, KT통신 데이터를 한데 모아 6개분야(서울의 가구, 혼인과 이혼, 출생과 사망, 인구변화, 인구이동, 외국인) 총 69개의 지표로 구성했다.
아울러 직원 누구나 쉽게 데이터를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자연어기반(NLP) 검색서비스’를 개발하고, 데이터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인구정책 의사결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가상융합 및 맵차트로 보여주는 ‘서울 인구관’을 구축했다.
학습 데이터셋 구축과 질의어 처리를 통해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 사용자는 일상의 언어로 간편하게 대화하듯이 다양한 데이터와 통계정보를 조회하고, 지도 및 다양한 형태의 시각화 분석을 수행하여 맞춤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3D 가상융합 테마관 ‘서울 인구관’은 나의 아바타가 가상융합 공간을 돌아다니면서 서울의 인구와 가구 변화들에 대한 데이터를 더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고, 인구봇과 질의응답 형태로 대화형 검색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그동안 민간 분석플랫폼에는 행정데이터 사용의 제약이 있었는데, 이번에 인공지능 분석플랫폼 도입으로 공무원들이 행정·민간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한 예측행정도 가능해졌다.
사용자는 민간 분석시스템 활용이나, 별도 분석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도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고성능 분석자원을 할당받아 분석 수행이 가능하며, 메뉴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급분석가의 기능도 포함시켜 사용자의 범위를 확장시켰다.
시는 시범운영 동안 서울시 공무원들의 사용 의견을 수렴하여 서비스를 보완하고 올해 추진하는 3단계 사업에 해당 의견을 검토·반영하여 대시민 서비스까지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김진만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의 시정 도입을 통해 예측 행정과 혁신 기반의 신행정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수월해졌다”라며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를 위해 문제 해결형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다양한 행정데이터 활용 사례를 발굴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